Loading...
지도 확대하기

데이터실험실

서울특별시 행정동 유동인구 분석
등록일
2025-04-16

유동인구 지표를 활용한 서울시 행정동 유형화 분석


[무엇을 분석하나요?]

: 약 1천만명 시민이 거주하는 서울시에는 총 426개의 행정동 (예: 성수1가1동)이 있습니다. 

  LG유플러스 보유 빅데이터 지표를 활용한 유형화 분석을 통해 각 행정동별 특징에 대해 파악하고, 
 유형화 결과 기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활용 방안을 모색
해보았습니다. 



[어떤 데이터를 사용하나요?]

: 유동인구 데이터, 청년/여성인구 데이터, 가구유형 데이터 등을 활용했습니다. 



[어떻게 활용 가능한가요?]

: 행정동별 유입인구 확대/상권 개발 등 정책 지원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 



[분석 개요]

· 분석 기간: 2023년 1월, 1개월 간 

· 분석 대상: 서울시 426개 행정동 기준 유동인구 

· KEY AGENDA

  ✔️ 유형화 분석 결과

  ✔️ 유형화 결과 기반 시나리오 분석



[분석 사례]

✔️ [PART 1] 서울시 행정동 유형화 분석 결과


❓ 서울시 내 행정동별 특징을 파악하고자 할 때도 유형화 분석이 가능한가요? 결과는 어떤가요?


📝 행정동별 특징을 파악하고자 할 때 주요 지표는 거주인구, 유동인구, 유입/유출인구, 가구 유형(청장년/키즈맘 등) 등이 있습니다. 
       유효 지표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, 426개 행정동은 아래와 같은 5가지 유형으로 구분 가능합니다. 

       

      ✒️ Cluster 1 : 거주자의 주말 타 시도 방문 비중⬆️, 야간 청장년 미혼가구 비중⬆️ "야간 거주 지구" 

      ✒️ Cluster 2 : 청장년 원거리 출퇴근 시간 유출 비중⬆️, 주말 타 시도 방문 비중⬆️, 주말 거주지 기준 원거리 상권 방문 비중⬆️ "원거리 출퇴근 지구"

      ✒️ Cluster 3 : 청장년 근거리 출퇴근 유출 비중⬆️ "근거리 출퇴근 지구"

      ✒️ Cluster 4 : 청장년 원거리 출퇴근 유입 비중⬆️, 유동인구 및 청년, 여성인구 비중⬆️ "청년 유입 지구"

      ✒️ Cluster 5 : 청장년 근거리 출퇴근 유입 비중⬆️, 주말 거주지 기준 인근 상권 방문 비중⬆️ "주말 상권 지구"

      


       📌 서울시 행정동 유형화 기준 및 분석 결과 



❓분석에 사용된 지표의 종류가 다양한데요, 각 유형별로 핵심 지표는 어떤 것이 있나요? 

      또, 해당 유형에 속하는 대표 행정동은 구체적으로 어떤 곳이 있나요? 


📝 한정된 지면을 고려하여, 우선 Cluster 2, 4 중심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 

       

      ✒️ Cluster 2  "원거리 출퇴근 지구"
            · 특징 : 청장년 원거리 출퇴근 시간 유출 비중⬆️, 주말 타 시도 방문 비중⬆️, 주말 거주지 기준 원거리 상권 방문 비중⬆️
            · 핵심 지표 : 🏷️
청년/장년 원거리 출퇴근 유출 비율, 🏷️주말 거주지 원거리 상권 방문 비율, 🏷️주말 당일 타시도 방문 비율

            · 대표 행정동 : 📍 동작구 신대방1동, 📍서대문구 북아현동, 📍성북구 정릉4동, 📍성동구 왕십리도선동 등 
            · 한 줄 Tip : "원거리 출퇴근 유출 비중이 높은 청장년 베드타운형 행정동" 


📌Cluster 2 핵심 지표 요약

       

      ✒️ Cluster 4  "청년 유입 지구"

            · 특징 : 청장년 원거리 출퇴근 유입 비중⬆️, 유동인구 및 청년, 여성인구 비중⬆️
            · 핵심 지표 : 🏷️청년/장년 원거리 출퇴근 유입 비율, 🏷️유동인구 비율, 🏷️여성 및 청년 비율, 주말 타 시도 유입 비율

            · 대표 행정동 : 📍종로구 종로1,2,3,4가동, 📍중구 명동, 📍마포구 서교동, 📍금천구 가산동, 📍중구 소공동
            · 한 줄 Tip : "외지인 청장년의 출퇴근 유입 비중과 주말 유입 비중이 높은 핫플레이스 상업지구형 행정동"


 📌Cluster 4 핵심 지표 요약

 




✔️ [PART 2] 유형화 분석 결과 기반 시나리오 분석


❓유형화 분석 결과는 어떻게 활용 할 수 있나요? 

 📝 분석 결과를 활용한 시나리오 분석을 위해 대상 유형과 행정동을 1곳 선정하여 진행해 보았습니다. 
        ➡️시나리오 분석 대상 유형은 Cluster 4 청년 유입 지구 (핫플레이스/상업지구형), 행정동은 "성수동/신사동"으로 선정 하였습니다. 
        ➡️시나리오 분석 시작을 위한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. 
               ㄴ 성수동과 유사한 특징을 지닌 행정동은 어느 곳이 있을까?

               ㄴ 성수동 상권 유입객 증대를 위해,  유동인구를 더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?


📝 STEP 1, 다시 한 번 살펴보면 성수동이 속한 Cluster 4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      · 🏷️ 상업 및 업무지구 특징이 강하며, 특히 원거리 출퇴근자의 유입 비중이 높다. 
      · 🏷️ 주중, 주말을 포함한 유동인구 비중이 높다.
      · 🏷️ 청년과 미혼가구 비중이 높고, 특히 여성 청년 비중이 높다.
      · 🏷️ 외지인 비중이 높다. 
(*외지인 = 해당 행정동 비거주) 


📝 STEP 2, 핵심 지표를 분석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 
       🏷️ [지표 1] 청장년 원거리 출퇴근 유입 비율 분석
           

 

     🏷️ [지표 2] 유동인구, 청년 및 여성청년 비율 분석
           


     🏷️ [지표 3] 주중/주말 관련 비율 지표 분석 
          

    🏷️ [지표 4] 주중/주말 중, 청년 및 미혼가구 비율 분석 
          


 📝 STEP 3, 핵심 지표 기반 동일 유형의 행정동 간 비교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  


       ✔️ 행정동 간 비교 🟰 성수동 VS. 압구정동 VS. 신사동


       · 압구정동은 성수동 대비 전체 유동인구 수가 약 1.9만 명 많음⬆️ 단, 주중에는 압구정동이 약 2.8만 명 많고⬆️, 주말에는 성수동이 약 1.3만 명 더 많음⬆️

       · 신사동은 성수동 대비 유동인구가 약 5만 명 적지만⬇️, 주중 유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유동인구 대비 78.8%로 성수동 보다 +3.3%p 높음⬆️

          📌유동인구 비교 (주중/주말 포함)
         
 
    

       · 성수동의 주중 유동인구가 압구정동 대비 적은 것은 주중 여성 유동인구가 적기 때문으로 추정

       · 신사동의 주말 유동인구는 주말 청년과 장년, 여성에서 성수동과 Gap 발생

 
        📌여성/청년/장년 유동인구 비교 (주중/주말 포함)

        

       ☑️ 성수동과 압구정동의 주중 여성 유동인구 Gap은 주중 여성 직장인 유동인구에서 크게 나는 것으로 추정, 즉 주중 유동인구를 늘리려면 주중 여성 직장인구 증대 필요

       ☑️ 신사동의 주말 유동인구를 성수동만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주말 남성 장년 직장인과 주말 남성/여성 청년 직장인의 유입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


        📌여성/청년/장년 직장인구 비교 (주중/주말 포함)

       






End Of Document
Copyright@LG UPLUS Corp. All Rights Reserved.

(주)LG유플러스 주소 :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32 대표이사 : 홍범식 사업자등록번호 : 220-81-39938 통신판매신고 : 제 2015-서울용산-00481호

Copyright@LG Uplus Corp. All Rights Reserved.